구글 애드센스 Ads.txt 상태 찾을 수 없음 해결방법 2가지(워드프레스 이용자)

구글 애드센스 개요(Ads.txt 상태 확인 전)

구글 애드센스를 하는 이유

근래에 구글 애드센스를 승인 받기 위해 노력하는 유저들이 굉장히 늘어났다. 사실 애드센스를 승인 받기 전에 대부분 다른 곳에서 네이버 블로그의 애드포스트나 기타 사이트의 CPI 광고 클릭형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었던 사람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바다.

본인 역시 기존에는 블로그 애드포스트를 이용했던 유저 중 한 사람이다. 그렇다면 갑자기 구글 애드센스로 변경한 이유라고 물어보면 사실 답은 간단하다. 네이버 애드포스트 광고 단가보다 몇 배가 된다는 수익률 소식이기 때문이다. 기존에 알고 있었던 사람은 이미 티스토리나 다른 경로를 통해서 본인의 홈페이지에 애드센스를 달고 이미 글을 써왔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아무튼 수익창출이 더 클 뿐만 아니라 사용편의성이나 광고 유형의 다양성, 광고 관리 자동화 등 애드포스트보다 조검더 수익관리에 대하여 운영자들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기에 AdSense로 많이 갈아 탄듯 해보인다.

많은 사람들이 승인을 받기 위해 진행을 하고 있지만, 여간 쉬운게 아니다. 흔히 애드고시라고 할 정도로 실제 고시급(?)은 아니겠지만 그만큼 난이도 높다고 하여 붙여진 별명이라고 한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애드센스에서 승인 받기 위한 절차 중 Ads.txt 상태에 찾을 수 없음 이라고 뜨는 것에 대해 해결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워드프레스 이용자가 늘어난 이유

먼저, 이 Adx.txt 찾을 수 없음에 대한 해결방법을 말씀드리기 전에, 우리는 애드센스가 구동되는 운영시스템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티스토리로 할 것인지, 워드프레스로 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프로그램 등으로 할 것인지에 대해서 말이다.

오늘 우리는 워드프레스에서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볼 예정이니 꼭 확인하시기 바란다. 물론 이 해결유형이 다른 운영시스템과도 유사하기 때문에 해결한다는 의미자체로는 대동소이 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티스토리도 아니고 왜 워드프레스일까? 근래에 티스토리팀에서 광고 정책을 변경하여 대다수의 인원들이 워드프레스로 갈아탔다고 한다. 그래서 워드프레스 사업자들은 땡큐이고 도메인이나 호스팅 서버 관리 사업자들 역시 갑자기 대량 늘었다고 한다. 수요가 많은 만큼 공급 역시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 드는 바다.

Ads.txt 상태 문제해결

어디서 생기는 문제?

아니 이런 문제는 어디서 생기는 걸까? 먼저,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 로그인해서 들어가게 되면 왼쪽 상단의 삼단 바를 누르면 된다. 그리고 홈, 광고, 사이트와 그 뒤로 많은 탭이 있는데 사이트 탭을 클릭하여 들어가면 된다.

먼저, 이는 우리가 Adsense를 승인 받기 위한 과정 중 하나인데, 우리가 블로그를 아무리 잘 꾸미고, 관리를 잘했다고 할지라도 이 확인이 안됐으면 불가능 하다 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다. 그렇기에 꼭 확인하셔야 하는 작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자, 그럼 사이트 클릭하셨나?

사이트를 클릭하게되면 오른쪽 부분에 Ads.txt 상태가 나온다. 그 바로 아래 빨간색 표시처럼 찾을 수 없음이나 아래와 같이 이라고 현시되는 사람이 많을 것이라고 본다. 그 유형에는 4가지가 있다.

① 찾을수 없음 : 사이트가 마지막으로 크롤링 되었을 때 ads.txt를 찾지 못했습니다.
② 승인됨 : 사이트의 ads.txt 파일에서 게시자 ID를 찾았습니다.
③ 승인되지 않음 : ads.txt 파일에서 게시자 ID를 찾지 못했으며 애드센스에서 광고를 게재할 수 없습니다.
④ 해당 사항없음 : ads.txt 파일에 게시자 ID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Ads.txt 찾을 수 없음이라고 뜨는 모습

우리의 유형은 아마도 첫 번째나 세번째에 해당 될 것이다. 이 뜻은 우리와 같은 운영자들이 애드텍스트를 승인 받은것으로 확인된 사람에게만 준다는 것인데, 말이 살짝 어려울 수 있다. 다시 말해 애드텍스트 파일은 내 워드프레스에 HTML에 파일을 심어 내 것이 진짜 맞느냐 라고 판단해주는 식별 도구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그렇게 구글애드센스에서도 애드텍스트 를 사용하는 경우 이 파일을 게시자 ID에 포함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만약에 누락된다면 구글 사이트에서의 모든 광고요청을 거부한다고 나와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결해야할까?

방법 1

물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구글에서 권장하는 문제해결 방법 사이트로 들어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본다. 하지만 우리는 시간이 없기에 바로바로 해결해야 한다. 그렇지 않나? 본인 역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 처음에는 복잡하다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는 것을 느껴 아주 쉽게 해결했다고 볼 수 있다.

먼저 위에서 설명했던 사이트 페이지 내에서 내 url 홈페이지를 클릭해주면 된다.

만약에 못찾거나 찾는게 어렵다면, 아래의 애드센스 고객센터를 확인해 보시기 바란다.


애드센스 고객센터 바로가기

위와 같이 클릭하여 들어가게 되면 내사이트연결이라는 탭을 클릭하고 확인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여기서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을 통한 방법과 ads.txt 스니펫을 통한 방법이 있다. 먼저 우리는 후자로 선택하여 시도해볼 예정이다.

아래와 같이 두번째 스니펫으로 클릭한 뒤, 코드 처럼 나오는 내용을 복사를 한다. 긁어서 복사도 가능 하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본인 같은 경우, 혹시 몰라서 메모장에 붙여넣고 다시 긁어서 가져가는 편이다.

아무튼 여기까지 됐으면 한 가지 플러그인이 더 필요하다.

유저들 마다 다르겠지만 본인 같은 경우, Ad insert를 사용하고 있는 중이라고 애드 인서터로 예시를 들어보겠다. 플로그인에서 애드인서터로 들어가고 setting을 클릭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그리고 상단에 나오는 1~16번 까지 번호는 무시하셔도 되고(아무 번호나 해도 adstxt 자동으로 전체가 되기 때문) 오른쪽 부분의 ADSTXT를 클릭하여 준다.

그렇게 펜모양 편집을 클릭하여 조금 전에 복사해둔 스니펫 코드를 내용 칸에 복사 해준다. 그리고 다시 초록색 체크 버튼을 클릭하면 저장이 되고, 저장이 완료 됐으면 아래와 같이 Advertising system, Account ID, Type, Certification authority ID에 내용이 뜨게 된다.

참고로 해당 복잡한 코드가 내 것이랑 진짜가 맞는 지 확인하려면 구글 애드센스의 계정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방법 2

두번 째는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을 본문에 삽입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살짝 어려울 수(?) 있다. 코딩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쉽다고 할 수 있다. 먼저,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서 외모(테마)에 들어간다. 그리고 테마 파일 편집기에 들어가서 header.php를 클릭하여 주시고, 아래와 같이 html <head>와 </head> 주소사이에 조금 전에 복사한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을 붙여넣기 해준다.

마지막으로 저장 or 파일 업데이트를 해주면 끝이난다.

결론

많이들 질문해주는 Ads.txt 상태에 대해에서 알아봤다. 그리고 빠진 부분이 하나가 있는데, 저렇게 코드를 입력한다고 바로 승인 또는 확인 되는 것이 아니다. 최소 며칠은 걸리기 마련이다. 구글 정책에서도 비슷하게 말을 해준다. 업로드를 하였을 지라도 광고주에서 크롤링을 하는데 며칠에서 최대 한달 정도 걸릴 수 있다고 말한다.

일단 위의 방법대로만 잘했다면 차분히 한번 기다려보자. 기타 문의 사항 있으시면 아래로 댓글을 달아주시기 바란다.

[ 참고 ]

ADS.TXT 해결을 위해 오래 작업 하셨을 것이라 본다. 우리는 건강하게 오래 작업해야하는데 하나만 매달리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이에 좋은 장비가 필요한데, 그 중 키보드야 말로 우리 작업과 신체에 미치는 영향 중 큰 요인 중 하나이다.

이에 하나 말씀 드리고 가니 확인 후, 건강도 찾으면서 작업하시기 바란다.

▶ 엡코 게이밍 키보드 + 마우스 + 장패드(클릭)

해당 링크는 쿠팡파트너스의 일활은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 ADS.TXT 계속 실패한다면? 카톡방 물어보기 ]

1 thought on “구글 애드센스 Ads.txt 상태 찾을 수 없음 해결방법 2가지(워드프레스 이용자)”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