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 Rocket 설정방법 개요
WP-ROCKET 플러그인 뜻
WP Rocket은 WordPress 웹사이트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플러그인이다. 이는 유료로 되는 시스템으로 아마도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 분들 중에 가장 리뷰가 좋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플러그인 중 하나라고 보면된다. 그리고 플러그인 추가에서는 검색되지 않으므로 사용을 원하시면 아래의 링크로 할인하여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후기 또한 거의 전 세계 1등이라고 보시면 될 정도로 효과가 좋다고 보면 된다. 본인이 쓴 내용을 먼저 한번 살펴보고 본 내용을 보셔도 될 것이다.
그리고 WP Rocket을 설치 한뒤, 활성화하기만 하면 대부분의 설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용하는 설정과 시스템에 따라 몇 가지 추가 설정이 필요할 수있기에 아래와 같은 포스팅을 제작하였다.
WP ROCKET 설정방법
세팅 시작
먼저, WP Rocket 플러그인을 워드프레스 대시보드에서 설치하고 활성화하자. 활성화 후, “Settings” 메뉴로 이동하여 플러그인의 설정 페이지에 접속한다.
참고로 본인은 영어로된 버젼으로 설정하였지만 보시는 분들의 편의를 위해 마우스 우클릭으로 한글 번역 후에 보셔도 무난할 것이다.
유의사항
설정 시 제일 중요한 부분이다. 설정하기 전 백업을 해두고, 설정 한 다음 바로 저장 후 잘 돌아가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캐시 설정방법
이제 설정 페이지에서 먼저 “캐시” 옵션을 확인해보자. 여기서 모바일 장치 캐싱 사용에 체크를 하고 전용 모바일 테마가 따로 있는 경우 밑에 모바일 장치에 대한 별도 캐시를 체크한다.
그리고 사용자 캐시는 제한된 콘텐츠가 있을 때 사용하는 것이며, 캐시 수명이라고 하는데 여기서는 수명이아니라 캐싱 삭제가 리로딩 되는 부분이라 생각하면 된다. 본인은 10시간으로 했는데 너무 많이 하는 것도 안좋다는 말이 있어 짧게만 하지않길 권하는 바다. 항상 마무리 변경 내용 저장 후 잘 돌아가는 지 확인한다.
파일 최적화 부분
다음으로, “File Optimization” 섹션을 확인해보자. 이곳에서 CSS 및 JavaScript 파일을 결합하고 최소화할 수 있다. CSS 파일 축소와 아래의 CSS전달 최적화를 클릭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CSS를 제거 선택한다.
이어 자바스크립트 파일 축소를 체크하여 주석 제거 및 파일 크기를 줄여줄 수 있다. 이어 지연된 자바스크립트 로드 체크, 자바스크립트 지연 실행을 체크해주면 되는데, 이를 이 체크할 경우 속도가 굉장히 빨라짐을 느낄 수 있다. 단, 이 부분에서 애드센스 등 나오는 부분을 모두 지연시킴으로 확인하시어 원하는 지연 제외 부분은 별도 체크 해두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파일 요청 수를 줄이고 웹페이지 로딩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저장 후 확인 잊지말자
미디어 부분
“Media” 섹션에서 이미지 지연 로딩 (lazy loading)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정말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내 홈페이지 화면이 뜰때, 내가 보고자 하는 부분만 이미지가 뜨고 나머지 화면에 보이지 않는 부분은 지연되는 부분을 말한다.
그러므로 이미지에 대해 사용 체크해주고 아래의 iframe을 체크해 준다. 아래의 이미지 크기는 누란된 이미지 치수 추가를 눌러준다. 이렇게 하면 페이지에 로드되는 이미지의 양을 줄이고 초기 페이지 로딩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프리로드(PRELOAD) 설정 : 예압 아님
프리로딩은 말그대로 사이트맵을 감지하여 URL을 데이터베이스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캐시가 항상 미리 로드 되어있는지를 확인하여 더 빠르게 인식하고 뜨는 것을 뜻한다. 그렇기 때문에 활성화를 체크해준다. 아래의 링크 사전로드 사용도 체크 하여 준다.
데이터베이스 설정
본인 같은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모두 체크하였다. 혹시 안 맞는 분들이 있을 수 있으니 항상 저장 하시고 운영이 잘되는 지 체크하고 넘어 가시기 바란다.
나머지 부분(고급규칙, CND, 하트비트, 애드온 등)
나머지 고급 규칙이나 CDN 부분은 유료이고, 이미지 최적화(일부 유료) 부분은 다른 플러그인으로 대체가 가능하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결론
여기까지가 WP Rocket의 기본 설정 방법이다. 물론,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한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각자의 스타일과 설정 옵션에 맞게 해주면 좋을 것이다.
위에도 언급하였지만 무조건 설정 저장 누르기보다 하나씩 저장 후 확인 저장후 확인을 반복하면서 잘 운영이 되는지 꼭 체크를 하시기 바란다. 설정이 완료되면 속도체크를 하여 얼만큼 증가했는지도 확인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