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건강검진 비용
40대를 무사히 넘겼는데, 50대에 다가오니 평소에 소홀했던 내 몸에 이상이 없는지 더욱 더 걱정하게 됩니다. 진짜 몸 걱정을 제대로 하는 나이라고 볼 수 있죠. 그렇게 자녀도 성장하고 가정이 안정화 되면서 무심한 나의 건강을 챙기려고 하니 여간 쉬운게 아닙니다. 이에 50대 건강검진 비용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병원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기본검진은 40만 원에서 종합검진은 100만 원 정도의 범위에 있다고 추정하시면 될 것입니다.(아래에서 자세히 확인)
건강상태에 맞는 검사가 필요
사실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많이들 놓치시는 부분입니다. 기본 국가에서 하는 국가검진을 통하여 기본검진만 해도된다는 분도 있고, 그래도 종합검진은 무조건 해서 세밀하게 알아봐야 한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답은 없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해답을 말씀드리면, 건강검진의 비용은 검사 항목과 종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자신의 건강 상태와 필요에 맞는 검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실상 40대 이상 부터는 종합건강검진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50대 건강검진 특징
어떤 항목을 받아야 하나?
50대 건강검진에는 위에 언급한 기본적인 신체 측정, 혈액 검사, 소변 검사, 흉부 X선 검사, 심전도 검사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병원마다 센터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50대 이상부터는 성인별 질환부터,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골다공증,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등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밖에도 사실 병의 종류는 워낙 방대하고 많기 때문에 내가 원하는 센터에 질의하여 비용을 알아보셔야 할 겁니다.
이러한 질환을 예방하고 미리 발견하기 위해 골밀도 검사, 유방초음파 검사, 유방촬영술 검사, 갑상선 초음파 검사, 대장내시경 검사 등을 추가로 받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는 이제 단순히 건강을 뽐내는 것이 아닌 잘 관리하는 것이 제일 좋다고 보시면 됩니다.
병원별 비용 및 항목 확인.
물론 집근처에도 좋은 병원이나 센터가 많다면 다행일겁니다. 저의 경우 혹시 모르니 큰 병원으로 가는 경우가 많아, 기준을 큰 병원을 잡고 종합검진을 받는 다는 가정하에 2023년 10월 기준으로 분석해봤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정밀기본
삼성서울병원에서는 40대 이상 중장년 위 정밀기본 프로그램이 있는데, 남성의 경우, 1,140,000원(공통검사 : 신체측정, 소/대변, 상복부 초음파, 안과, 심전도/흉부, 위내시경, 식생활평가/영양상담, 혈액검사), 남성검사(청력, 흉부촬영, 경동맥초음파, 심장운동부하, 치과/치과촬영 등)
여성의 경우에는 1,454,000원이 소요됩니다. 공통검사 항목은 남자랑 같고, 여자 검사항목(골표지자, 종양표지자/난소, 인유두종바이러스, 골밀도, 유방촬영, 골반초음파, 갑상선 초음파, 여성호르몬, 유방초음파, 여성의학 등)이 있습니다.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정밀검진(저선량 암검진)
노원을지병원의 경우, 기본검진은 베이직(2030대), 실버(4050대), 골드(6070대)가 나눠져있는데, 정밀검진의 경우 특별히 나눠져 있는 상태는 아닙니다. 물론 병원 환경에 따라 바뀔 수 있다고 봅니다.
남녀 공통된 항목은 기초검사(신체 등), 혈액검사, 호흡기계(흉부선 촬영 등), 소화기계(복부 초음파 등), 순환기계(혈액, 맥박 등), 근골격계(골밀도), 기타검사(갑상선, 액상세포, 우울평가 설문 등)있습니다.
여기에 남성은 종양표지자, 하복부 초음파, 남성호르몬, 방광암항원검사까지 110만원이 소요됩니다. 여성은 종양표지자, 유방X-선촬영, 유방초음파, 여성호르몬, 자궁경부세포진검사 등까지 130만원이 소요됩니다.
필자가 추천하는 방법
50대 건강검진 비용은 병원마다 다르므로, 자신의 건강 상태와 필요에 맞는 병원과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 가장 가까운 곳에 좋은 센터나 큰병원이 있으면 베스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건 정말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한 Tip인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각자의 동네에 맞는 검진기관을 찾을 수 있게 사이트를 만들어 놨습니다.
또한, 국가에서 제공하는 무료 건강검진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국가에서 제공하는 무료 건강검진은 직장 가입자와 지역 가입자에 따라 자격과 내용이 다르므로, 자세한 사항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