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속도 개요
워드프레스 속도향상 실전편
1부에서 속도에 대한 고찰을 자세히 알아봤다. 이제는 실전편 이라고 보면된다. 가끔 인터넷에 떠도는 내용들 보면 정말 알 수 없는 코딩 용어인지 인터넷 용어인지 어렵게 느껴져 어떻게 해야하는지 망설여 질 수 있다. 혹여나 HTML 잘못 건드려서 404 error(주소를 못찾아 뜨는 에러)가 뜰 수 있고 접근성 자체가 사실 어려울 수 있다.
이 뜻을 다시말하면 속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은 사실 정말 방법도 많고 그만큼 변수도 많다(괜히 잘못 건드렸다가 사이트가 제대로 안뜨는 현상이 발생)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말 간단하게 성능을 올릴 수 있는 몇 가지 안들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만약 정말 본인이 정말 초보이신 분이나, 어렵다고 생각하셨던 분들은 천천히 보시며서 어려운 것들은 다시 위로 올라가 확인하며 차근차근 실행해 보도록 하자.
워드프레스 속도향상 방법
캐싱 정리
먼저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많이들 들어보셨을 것이다. 워드프레스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첫 작업 정도로 해석하면 되는데, 이는 작업효율을 줄이는 것 중 가장 큰 방법이자 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 중 가장 큰 요인이라고 보면된다. 이는 Cache(캐시)라고 불리는데, 1편에 봤듯 인터넷 브라우저에게 받 은 요청을 수행하려고 하면, 해당 내용을 요리조리 찾고 php에게 다시 전달하여 유저(사람들)에게 보일 수 있는 HTML파일로 만들도록 시킨다.
여기서 PHP가 다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되는 정보를 찾아 HTML 파일은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건너 뛸 수 있거나 유연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캐시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시작도 안했는데 벌써부터 머리 아프다, 힘들겠다, 못하겠다 라고 하는 분들이 있다. 더 복잡하게 설명이 가능하지만 바로 해결방법을 설명 드리겠다.
캐싱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것이다. 사실 서버 HTML에서 직접 쿼리캐시나, PHP Script Cache, FastCgi를 통해 수동으로 삭제 및 변경하는 방법이 있지만,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개선하는 방법이 있다. 플러그인 종류는 WP 갖
▶ WP가장 빠른캐시(WP Fastest Cache)(무료, 많이 쓰임)
▶ WP Super Cache(무료)
▶ LiteSpeed(무료, 살짝 무거움)
▶ Autoptimize(무료, 간단함)
위의 플러그인들을 설치하여 설정에 맞게 캐시정리를 해주면 일부 데이터는 저장되어 반복저인 요청을 줄이고 필요없는 것들 삭자헤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위 4가지는 무료라는 것이 장점이 있다. 본인의 경우, WP Rocket이라는 플러그인을 설치하였는데 이는 유료이며 1년 단위로 갱신할 수 있다. 많은 워프 유저들이 찬사하는 내용으로, WP-Rocket이 추천 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현재 ‘내가 초보이고 글을 쓰고 있는 단계’라면 위의 세개 중 본인에게 맞는 것을 찾아 설치해도 괜찮다고 보는 바다.
WP-Rocket의 특징(홈페이지 클릭)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뤄 보겠다.
이미지 최적화
네이버나 티스토리 블로그를 했던 사람들은 잘 못느꼈을 것이다. 아무리 용량이 큰 이미지를 올려도 팍팍 잘 떠서 왜 이미지를 최적화 해야 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지만 우리는 네이버 블로그가 아니라 자체 사이트를 만들고 있는 중이다. 그러므로 사진, 글, 이미지용량, html, css 등 모든 변수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렇게 대용량이나 다소 큰 이미지를 줄이거나 최적화 하기 위해서는 용량을 줄일 수 있는 플러그인을 사용하거나, 압축이 되는 플러그인을 사용하여야 한다. 종류로는 아래와 같다.
▶ WP Smush
▶ Compress JPEG & PNG
▶ Imagify
▶ ShortPixel
위의 플러그인들은 Lazy(지연 효과) 조절하는 역할을 해준다. 예를들어 기존 크기의 이미지 파일을 줄여준다거나, 글을 읽을때 내려갈 때, 미리 그림을 다 불러오지 않고 내리면서 실시간으로 사진이나 그림이 나오도록 하는 설정(지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본인은 Imagify를 사용하고 있는 중인데, 본인 같은 경우는 최초 이미지를 올릴 때 최대한 가볍게 만들어 놓고 올리는 편이다.
테마 선택
워프의 테마 역시 굉장히 중요한 부분인다. 테마는 내 홈페이지의 기둥이나 기반이라고도 볼 수 있는 데 만약 꽤나 무거운 테마를 사용하고 있다면 느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추천하기로는 Hello테마가 성능에 친화적이다고 하였다. 그리고 아래의 추천 테마 역시 성능에 있어서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테마라고 볼 수 있다.
▶ Generate Press
▶ Astra
▶ Neve
▶ Hello
참고로 본인은 제너레이트 프레스를 사용하고 있는 중이다. 그것도 무료버젼으로 이용 중인데 차후 유료로 변경 예정이다. 아직까지는 아주 불편없이 잘쓰고 있다. 그리고 속도 또한 크게 방해가 되지 않는 다고 볼 수 있다.
무거운 플러그인이 있다?
이번 항목은 굉장히 민감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근래 워드프레스 사용자들이 증가하면서 동시에 본인 회사의 플러그인을 홍보 및 판매하려고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업자도 많고 과장된 것도 많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그 중에 훌륭하고 괜찮은 것, 꼭 필요하다 생각하는 것도 있겠지만 파일로딩 속도까지 영향을 주는 플러그인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왜냐 모든 플러그인은 데이터베이스 쿼리, HTTP 요청 파일 크기의 형태에 따라 각각가 가중치가 부여되기 때문에 첫 페이지 로딩시 Plugin에 따라 속도가 좌지우지 된다.
개인적으로 사용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것은 과감하게 삭제하라고 말씀 드리고 싶다. 참고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구글사이트킷이나 젯팩 역시 굉장히 무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둘의 특징은 여러 플러그인(이미지, 기능 최적화, 통계확인 등)을 한 번에 뭉쳐 원툴로 관리할 수 있게 만든 것인데, 그만큼 필요한 리소스도 굉장히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 무거운 플러그인 삭제
▶ 플러그인 수 제한
▶ 공인되고 잘 알려진 것 만 쓰기
본인 같은 경우 참고로 젯팩을 오래 쓰다가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여러분께서 지워야된다 하지말라는 말씀 드리지 않겠다. 보안과도 연결되어 있고 처음에는 도움되는 부분이 많기에 쓰다가 향후 대체품이 나오면 변경해도 된다고 말씀 드리고 싶다.
*이어 무거운 플러그인은 1편(클릭)에서 말씀드린 GTmetrix 속도 체크에서 어떤 것이 영향을 주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다음편에 속도체크 결과 값 해석하기 편을 다시 올리도록 하겠다.
호스팅 변경
마지막으로 호스팅 변경이다. 기본적으로 호스팅 변경은 PC가 느릴때 본체를 바꾼다는 개념으로 보시면 된다. 성능 자체의 전체적 개선을 위해서 가장 큰 역할이라고도 본다. 만약 호스팅이 저렴하고 성능이 좋지않는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면, 속도가 안나오는 것이 너무나도 당연한 점이다. 다시 말하지만 우리는 네이버나 다음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내 서버를 스스로 운용하고 있는 중이다. 네이버가 대기업이면 우리는 그냥 시골의 영세상인으로 시작하는 것이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저렴한 호스팅을 쓰다가 차츰 중고가 호스팅 서버로 변경을 시작한다. 그렇다보니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는 중이다. 근래에 들어 워드프레스 온라인 강의라는 타이틀로 속도를 빠르게 해야한다거나, 처음 시작하려면 이것으로 해야한다는등 레퍼럴(상대방이 가입시 나에게 떨어지는 이익)광고로 이득을 얻는 후안무치도 있다는 것이다. 생각보다 정말 많다. 다들 보셨지 아니한가?
어쨌거나 호스팅 서버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추천이라고 결코 말씀안드리고 대표적인 것들만 나열해 보겠다.
▶카페24(국내/요금플랜 다양)
▶가비아(국내/품질)
▶FastComet(해외/고객응답빠름)
▶클라우드웨이즈(해외/퀄리티)
위의 호스팅 중에서는 월 500원 밖에 하지 않는 카페24도 있는 만큼 저렴한 건 굉장히 가격이 낮은 수준이다. 개인적으로 처음 워프를 작을 한다면 너무 낮은것 말고 그 다음것 정도로 시작하길 추천 드리는 바다. 본인은 레퍼럴 이득이 전혀 없다. 이어 본인 같은 경우 FASTCOMET에서 Extra 요금제로 사용하고 있다. 아시겠지만 클라우드웨이즈가 레퍼럴 이익을 주다보니 강의하는 사람 또는 유튜버, 블로거들이 본인 추천 링크를 통해 가입하라고 하는 것을 봤을 것이다. 제발 굳이 처음부터 비싸게 가서 시작하지는 말자.
결론
그 밖에도 세부적으로 가보면, GZIP 압축, HTML, 자바스크립트 및 CSS 리소스 축소, 타사 스크립트 제한, JavaScript 제한, CDN 설정 등 굉장히 많은 방법이 있다. 이 부분 역시 명쾌하게 다 설명을 드릴 수 있는 한방의 묘약을 차후 설명 드리겠다. 초반에는 굳이 그렇게까지 다 할 필요 없다는 것을 말씀 드린다. 아마 다 알려고 하면 머리아파서 금방 포기해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본인이 설명한 본문 위의 방법으로도 충분히 워드프레스 속도향상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잘따라오셨다면 1편에서 언급한 테스트를 진행해보시고, 만약 그래도 이해가 되시지 않거나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천천히 올려서 차근차근히 다시 보시기 바란다.
그래도그래도 정말 어렵다 또는 봇이 아닌 사람한테 도움을 얻고 싶다? 라고 하면 아래의 채팅방에 들어오셔서 질문하여 주시기 바란다. 다같이 속도 빠르게 올려서 품질 좋은 워드프레스로 거듭 나자.
▶ 속도는 정말정말 생명이다!